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보도자료

Barun Medicine Institute

보도자료

23.12.05 [보도자료] 통계는 대한민국에 의대정원 확대가 필요하지 않다는 사실을 증명하고 있다.

관리자 2023-12-05 09:18:50 조회수 546

[바른의료연구소 보도자료]

통계는 대한민국에 의대정원 확대가 필요하지 않다는

사실을 증명하고 있다


1. 서론


정부는 2023년 OECD 보건의료통계를 바탕으로 인구 1,000명당 의사 수가 OECD 평균은 3.7명인 반면 한국은 2.6명으로 OECD 평균보다 적고, 필수의료 붕괴, 급격한 인구 고령화, 소아청소년과 오픈런 사태, 응급실 뺑뺑이 문제, 지방의료 붕괴 등을 막기 위해 의대정원 확대가 필요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또한 정부는 대한민국에 의사 수는 적지만 진료 횟수와 국민들의 의료이용 횟수가 많아 이미 충분한 양의 의료를 제공하고 있으므로 의대정원 확대는 필요하지 않다는 주장에 대해, 다른 나라에 비해 진료 시간이 짧고 의료의 질이 떨어져 국민들의 환자 만족도가 낮다는 주장을 하며 이 문제 해결을 위해 의대정원 확대의 당위성을 지속적으로 주장하고 있다.   


이에 바른의료연구소(이하 본 연구소)에서는 국가통계포털(KOSIS), OECD health at a glance 2021과 2023 보고서, 2022년 보건의료인력 실태조사 등의 통계 자료를 분석하여, 정부 주장의 정당성과 의대정원 확대의 필요성을 알아보았다.



2. 위기가 부각되기 전부터 최근까지 필수의료 분야의 전문의 수는 꾸준히 증가해왔다.


바이탈 의료, 응급 및 중환자 의료와 같은 필수의료는 모든 의사가 담당하는 것이 아닌 해당 분야 전문의들이 담당하므로, 필수의료 분야 인력 부족 여부는 전체 의사 수가 아니라 필수의료에 종사하는 전문의 수를 보고 평가해야 한다. 만약 위기가 대두되기 이전에는 필수의료 분야의 전문의 수가 충분했으나 이후에 전문의가 감소하면서 필수의료 분야의 위기가 도래한 것이라면, 전문의 배출을 늘리는 정책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필수의료 위기 이전과 이후를 비교하여 전문의 수의 감소가 전혀 일어나지 않았다면, 전문의 배출을 더 늘리는 정책은 아무런 효과가 없을 것이라고도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소에서는 필수의료 분야의 위기가 부각되기 전과 후의 전체 전문의 수와 인구 대비 전문의 수를 비교함으로써 의대정원 확대가 필수의료 위기의 해법이 될 수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국가통계포털(KOSIS) 검색을 통해 2010년부터 2020년까지의 대한민국 인구의 변화와 전문의 수의 변화, 그리고 필수의료 전문의 수의 변화 등을 비교분석하였다.


 

 

2010

2020

증감률

총인구수

49,554,112

51,836,239

4.6%

총전문의수

73,428

103,379

40.8%

인구10만명당전문의수

148.2

199.4

34.6%

내과

24.8

36.3

46.3%

외과

12.5

14.1

13.2%

산부인과

12.6

13.6

8.3%

소아청소년과

11.1

14.1

26.8%


필수의료 분야의 위기가 부각되기 전과 후인 2010년과 2020년을 비교해보면, 전체 인구는 4.6% 증가한 반면, 총 전문의 수는 무려 40.8%가 증가하여 인구 10만명당 전문의 수는 34.6%나 증가하였다. 내과, 외과, 산부인과, 소아청소년과, 흉부외과, 응급의학과와 같은 필수의료 분야의 경우에도 인구 10만명당 전문의 수가 모두 증가하였다.


통계 분석을 통해 2010년부터 2020년까지 10년의 기간 동안 대한민국의 전문의 수는 꾸준히 증가했고, 절대적인 숫자뿐만 아니라 인구대비 전문의 수로 알아본 상대적인 숫자도 증가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2010년에는 언급조차 되지 않았던 필수의료 분야의 위기가 2020년이후부터 부각되기 시작한 원인은 전문의 수 부족에 의한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문제는 전문의 수는 계속 늘었으나 정작 필수의료 현장에는 의사가 부족한 현상이 지속되고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아이러니한 상황이 발생하게 된 원인은 결국 필수의료 분야에 종사할 의사는 지속적으로 늘었으나 열악한 처우와 법적 부담 등으로 이들이 필수의료 분야에서 이탈했기 때문으로 볼 수 있다.


이미 충분히 공급된 필수의료 분야의 전문의들이 필수의료를 외면할 수밖에 없는 근본 원인은 해결하지 않은 채, 전문의 자격을 취득할지 여부도 알 수 없는 의대생 배출만 늘리는 것은 밑 빠진 독에 물 붓기에 불과한 우매한 대책이다. 따라서 필수의료 분야에 종사할 의사 인력이 부족하므로 의대정원을 확대해야 한다는 정부의 주장은 거짓말에 불과하며, 필수의료 위기에 대한 해결책이 절대로 될 수 없다.



3. 고령화 사회 대비를 위해 필요한 노인성 질환과 관련된 전문의 수도 증가하였다.


 

 

2010

2020

증감률

65세이상인구수

5,366,109

8,151,867

51.9%

총전문의수

73,428

103,379

40.8%

인구10만명당전문의수

1,368

1,268

-7.3%

내과

229.0

230.8

0.8%

마취통증학과

69.6

69.8

0.3%

재활의학과

23.9

30.2

25.9%

신경과

25.3

27.8

9.7%

 
국가통계포털(KOSIS) 검색을 통해 확인한 결과 2010년부터 2020년까지 10년간 65세 이상 인구는 무려 51.9%가 증가한 반면, 전문의 수는 40.8% 증가함으로써, 65세 이상 인구 10만 명당 전문의수는 7.3% 감소하였다. 그러나 노인성 질환의 진료와 관련된 대표적인 전문과인 내과(0.8%), 마취통증의학과(0.3%), 재활의학과(25.9%), 신경과(9.7%) 등의 65세 이상 인구 10만 명당 전문의 수는 오히려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물론 정형외과, 신경외과, 안과 등 많은 전문과에서 노인성 질환의 치료를 담당하고 있으나, 이러한 전문과에서는 현재 노인 인구의 의료 이용에 있어 아무런 문제가 없으며 오히려 의료 공급의 과잉을 우려하고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현재 대한민국에서 고령화 대비를 위해 의사를 늘리는 것은 오히려 과잉 의료를 조장할 수 있다.


4. 10년간 소아청소년 인구 대비 소청과 전문의 수는 큰 폭으로 증가하였다

 

 

2010

2020

증감률

15세미만인구수

7,979,439

6,305,870

-21.0%

소청과전문의수

5,501

7,298

32.7%

인구10만명당전문의수

68.9

115.7

67.9%


최근 소아청소년과의 오픈런 상황이 발생하면서 정부는 소청과 전문의가 부족하다며 의대증원을 주장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소는 국가통계포털(KOSIS) 검색을 통해 실제로 소청과 전문의가 부족한지 조사하였다. 2010년과 2020년 사이 15세 미만 인구수는 10년 동안 21.0%가 감소한 반면, 소청과 전문의는 32.7%가 증가하여, 15세 미만 인구 10만 명당 소청과 전문의수는 무려 67.9%나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최근 소아청소년과의 위기와 오픈런 사태는 전문의 수가 부족해서 발생한 것이 아니라 다른 원인에 의해 발생한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저수가에 의한 낮은 수익성, 이대목동사건 등으로 대표되는 소아청소년 진료의 법적 부담 증가,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아동병원 줄폐업, 출퇴근 시간에만 환자가 몰리는 소아청소년 외래 진료의 특수성, 일부 보호자들의 과도한 갑질 등이 그 원인인 것이다. 즉, 소청과 전문의 수는 충분하기에 현재의 소청과 오픈런 사태는 의대정원 확대로 해결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니다. 



5. 대한민국의 도시와 지방간 의료 격차는 세계적으로 낮은 수준이고, 지방 환자들도 충분히 의료이용을 하고 있다.


정부는 지방에 의사가 부족해 지방의료가 붕괴되고 있다며 의대정원 확대를 주장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소에서는 정부의 주장이 맞는지 알아보기 위해 OECD health at a glance 2021과 2023을 분석하였다. 대한민국은 2019년에 도시와 농촌의 인구 1,000명당 의사수를 제출했으나 2021년에는 제출하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소는 2021년 OECD 자료와 우리나라의 2019년 자료를 비교분석하였다.


 
 
2021년 OECD 국가의 인구 1,000명당 평균 의사 수는 도시 4.5명, 농촌 3.2명인 반면, 2019년 한국은 각각 2.63명, 2.05명으로 도시와 농촌 모두에서 OECD 평균보다 의사 수가 적었다. 하지만 도시와 농촌의 의사 수 편차를 알아보기 위해 도시 대비 농촌 의사의 수를 백분율로 나타낸 ‘도시 대비 농촌의사 밀도’를 구해보면, 2021년 도시 대비 농촌 의사의 수에 대한 OECD 평균은 71.1%이며, 2019년 우리나라는 77.8%로 OECD 평균 보다 높았다. 또한 보건복지부의 『2022년 보건의료인력 실태조사』 보고서에도 도시 및 지방의 인구 대비 의사 수는 2019년 OECD 평균 인구 천 명당 1.8명의 편차가 발생하는 반면, 한국은 인구 천 명당 0.6명으로 지역간 의사 수의 편차가 적다고 평가하였다. 

실제 국민들에게 있어 중요한 것은 의료 이용이 필요할 때 얼마나 쉽게 의료를 이용할 수 있는지 여부이기 때문에 의료 이용에 있어 접근성이 가장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소는 이러한 의료 이용에 있어 접근성을 알아보기 위해 OECD 각국 도시와 농촌의 의사 수에 각국 의사의 연간 진료횟수를 곱하여 인구 1인당 연간 진료횟수를 구함으로써, 우리나라가 의사 수가 적어 충분한 의료를 제대로 제공하지 못하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2021년 OECD 평균 의사의 연간 진료건수는 1,788건인 반면, 우리나라는 OECD 평균보다 무려 3.4배나 많은 6,113건에 달하였다. 이는 OECD 국가 중 가장 높은 수치이다. 이에 의료 이용 접근성을 알아보기 위해 의사 수와 연간 진료량을 곱한 국민 1인당 연간 진료건수를 구해보면, OECD 평균은 도시 8.0회, 농촌 5.7회이지만 대한민국의 도시 15.9회, 농촌 12.5회로 매우 많았다. 심지어 대한민국 농촌의 1인당 연간 진료건수는 OECD 도시 평균보다도 월등히 높아 대한민국 농촌지역 국민들은 타 국가 도시 거주민들보다도 의료 이용에 있어 접근성이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도시로 의사가 몰리는 현상은국내에만 국한된 문제가 아닌 전 세계적인 현상이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한민국은 오히려 지역편차가 상당히 적은 나라에 속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대한민국의 의사 수는 적지만 연간 진료 건수를 고려하면, OECD 평균에 비해 도시와 농촌 모두에서 훨씬 많은 의료를 제공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단순히 도시에 비해 지방에 의사 수가 적거나 의료 공급에 있어 지역별 편차가 크기 때문에 의대정원 확대나 의대신설이 필요하다는 주장은 설득력이 없는 주장이다.


6. 의사 수가 많다고해서 지방 의사 수가 증가한다는 증거는 어디에도 없다. 

전체 의사 수가 많으면 도시 대비 농촌의사의 수가 증가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2021년 OECD 각국의 인구 1,000명당 의사 수와 도시 대비 농촌의사 밀도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인구 1,000명당 의사 수와 도시 대비 농촌의사 밀도와의 상관계수는 0.002로 전체 의사 수와 농촌의사 밀도는 아무런 관계가 없었다. 

 

또한 한 국가에서 의사 수가 늘어나면, 지방에 의사 수도 늘어나는지 알아보기 위해 2019년과 2021년 사이 전체 의사 수 변화와 농촌의사 밀도 변화와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두 해 모두 도시와 농촌의사 수 자료를 제출한 나라인 헝가리, 슬로바키아, 리투아니아, 체코, 노르웨이, 스위스, 스웨덴, 라트비아, 프랑스, 호주, 일본 등 11개국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헝가리

슬로바키아

리투아니아

체코

노르웨이

스위스

스웨덴

라트비아

프랑스

호주

일본

2019

인구1000명당

의사수

3.5

3.6

4.6

4.1

5.0

4.4

4.3

3.3

3.2

3.8

2.5

도시대비

농촌의사밀도

41.4%

43.1%

37.9%

76.8%

86.3%

79.2%

82.6%

45.5%

65.9%

60.5%

92.0%

2022

인구1000멷당

의사수

3.3

3.7

4.5

4.3

5.2

4.4

4.3

3.4

3.2

4.0

2.6

도시대비

농촌의사밀도

66.7%

58.5%

43.5%

81.5%

86.2%

78.4%

88.9%

68.9%

65.8%

77.8%

111.5%

변화율

인구1000명당

의사수

-5.7%

2.8%

-2.2%

4.9%

4.0%

0.0%

0.0%

3.0%

0.0%

5.3%

4.0%

도시대비

농촌의사밀도

60.9%

35.8%

14.8%

6.1%

-0.1%

-0.9%

0.0%

51.6%

0.1%

28.5%

21.2%



분석 결과 비록 통계학적 의미는 없지만, 2년 동안 전체 의사 수 증가와 농촌의사 밀도 변화 사이의 상관계수는 –0.261로 전체 의사 수가 증가할수록 오히려 농촌의사 밀도가 감소하는 경향성을 나타냈다. 결론적으로 전체 의사 수와 농촌의사 밀도는 전혀 상관관계가 없으며, 전체 의사 수를 증가시키면 오히려 도시 대비 농촌의사 밀도가 감소할 수 있음이 드러난 것이다.


따라서 한 국가에서 의사 수가 늘어난다고 해서 지방에 의사 수가 늘어나는 일은 없이 오히려 지방 의사 비중이 감소할 수도 있다는 사실이 드러난 상황이므로 의대정원 확대는 오히려 상황을 악화시킬 수 있다. 



7. 우리나라 국민들은 충분한 양의 의료를 이용하고 있고, 의료 서비스에 만족하고 있다. 


대한민국이 OECD 대비 의사 수가 적다는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대한민국이 OECD 국가 중에서 의사 1인당 진료횟수와 국민들의 의료 이용량이 가장 높다는 것도 사실이다. 이는 결국 대한민국 국민들은 세계에서 가장 손쉽게 많은 의료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으므로, 대한민국에는 의사가 부족하지 않다는 사실을 말해주는 것이다. 


 
 
 

정부는 국민들의 의료 이용은 많지만 의사 수 부족으로 인해 진료 시간이 짧아 국민들의 의료 서비스 만족도가 높지 않다고 주장한다. 이에 국민들의 의료 서비스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의사 수를 늘려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렇다면 과연 대한민국 국민들은 의료 서비스 이용에 대해 만족하지 못하고 있을까? 

 
 
 
본 연구소는 OECD 보건의료통계에서 환자 만족도와 관련된 지표들을 찾아보았고, 이 중에서 진료에 충분한 시간을 쓰는 의사의 비중, 이해하기 쉽게 설명을 하는 의사의 비중, 치료 결정에 환자를 참여시키는 의사의 비중을 알아보았다. 자료를 제출한 19개국의 OECD 국가에서 진료에 충분한 시간을 쓰는 의사의 평균은 82%였고, 대한민국의 경우는 81%로 OECD 평균과 거의 같았다. 또한 이해하기 쉽게 설명을 하는 의사의 OECD 평균이 91%였고, 대한민국 평균은 88%로 큰 차이가 없었다. 그리고 치료 결정에 환자를 참여시키는 의사의 OECD 평균이 84%였고, 대한민국은 89%로 OECD 평균과 대비하여 오히려 5%나 더 높았다. 

결국 대한민국은 의사 1인당 진료 횟수와 국민들의 의료 이용량에서 세계 최고이면서도 의료 서비스에 대한 국민들의 만족도도 결코 타 국가에 비해 낮지 않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환자 만족도 지표에서 대한민국 보다 낮은 나라에 영국, 스웨덴 등이 포함되어 있는 것을 보았을 때, 의사 수와 환자 만족도 사이에는 어떠한 상관관계도 없다는 사실도 알 수 있다. 이에 환자 만족도를 의대정원 확대의 명분으로 삼는 정부의 주장은 거짓에 불과하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8. 결론

현재 정부는 의대정원 확대가 망국적 포퓰리즘에 불과한 정책이라는 의료계의 주장을 무시하면서, 필수의료 붕괴, 고령화 대비를 위한 인력 확보, 소청과 진료 인프라 붕괴, 지방의료 위기, 환자 만족도 저하 등을 명분삼아 의대정원 확대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그동안 본 연구소를 포함하여 의료계에서는 의대정원을 늘려도 앞서 언급한 문제들을 해결할 수는 없으며, 심지어 정부가 주장하는 명분에는 사실이 아닌 것도 있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이러한 지적에도 아랑곳하지 않고, 정부는 자신들의 잘못된 주장만 내세우며 언론 등을 앞세워 국민들의 눈과 귀를 덮으려 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소에서는 정부의 주장들이 사실인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통계 자료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그 결과 의대정원 확대 정책은 필수의료 붕괴의 대책이 될 수도 없고, 지방의료 위기 문제의 대책도 될 수 없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또한 대한민국 국민들은 이미 충분한 의료를 만족스럽게 이용하고 있다는 사실도 드러나 지금까지 정부의 주장들은 대부분 거짓에 불과하다는 사실도 밝혀졌다.

정부는 끊임없이 의대정원 확대의 당위성을 주장하지만. 움직일 수 없는 사실인 통계는 오히려 대한민국에 의대정원 확대가 불필요하다는 사실을 말해주고 있다. 문재인 케어의 실패에서 보았듯이 잘못된 가정과 왜곡된 통계 결과를 가지고 만들어진 보건의료 정책은 국민 건강에 심대한 위협을 끼치고, 건강보험 재정에도 악영향을 미치게 되어 돌이킬 수 없는 후유증을 남긴다. 이에 의대정원 확대 정책 역시 잘못된 가정과 왜곡된 통계를 통해 만들어진 정책임이 드러났으므로, 국민 건강에 미칠 악영향을 막기 위해서라도 반드시 폐기되어야 마땅할 것이다.


2023년 12월 5일

바 른 의 료 연 구 소